“돈을 아끼는 게 아니라, 삶을 설계하는 힘을 키우는 것” 이번 글에서는 '경제'의 기본 개념을 10대의 일상에 맞춰 설명하고, 선택과 기회비용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. 초중고 경제교육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내용이며, 이후 시리즈 전개의 토대가 될 예정이에요.
📑 목차
- 경제, 그게 뭔데?
- 경제는 나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?
- 우리는 매일 선택을 한다
- 선택 뒤에 따라오는 것, 기회비용
- 점심메뉴도 경제다 – 생활 속 경제사례
- 시간도 돈도 모두 자원이다
- 왜 경제를 배워야 할까?
1. 경제, 그게 뭔데?
경제라는 단어를 들으면 대부분 ‘돈’만 떠올립니다.
하지만 경제는 단순히 돈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.
경제란 ‘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잘 쓰느냐’에 대한 고민과 선택의 학문입니다.
즉, 내가 가진 시간, 돈, 에너지처럼 한정된 것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과정이죠.
예를 들어, 하루 24시간 중 내가 공부할 시간, 게임할 시간, 잠잘 시간을 나누는 것도 경제 활동입니다.
돈이 없더라도 ‘선택’이 들어가는 순간부터 이미 경제는 작동하고 있습니다.
10대를 위한 경제교육 시리즈 2부: 돈은 왜 필요한가? 화폐는 언제부터 존재했을까?
10대를 위한 경제교육 시리즈 2부: 돈은 왜 필요한가? 화폐는 언제부터 존재했을까?
“돈이 없던 시절에도 사람들은 교환하며 살았다” 이번 글에서는 돈의 역할과 본질, 그리고 화폐의 기원을 10대의 눈높이에서 설명하겠습니다. ‘돈=종이’가 아니라, ‘돈=약속된 가치’임을
parenting-lab.com
2. 경제는 나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?
"경제는 어른들이 회사에서나 하는 얘기 아닌가요?"
그렇지 않습니다. 경제는 내가 오늘 아침 무엇을 먹을지 정할 때부터 시작됩니다.
용돈으로 떡볶이를 사 먹을지, 게임 아이템을 살지 고민하는 순간.
시험공부를 할지, 유튜브를 볼지 선택하는 순간.
심지어 친구와의 약속을 지킬지 말지를 고민할 때도, 보이지 않게 ‘경제적 판단’이 숨어 있습니다.
10대도 이미 수많은 경제 결정을 하고 있으며,
그 선택이 쌓여서 미래의 삶을 구성하게 되는 것입니다.
3. 우리는 매일 선택을 한다
사람은 하루에도 수십 번, 수백 번의 선택을 합니다.
아침에 일어날지 더 잘지, 버스를 탈지 지하철을 탈지,
국어 공부를 먼저 할지 수학 문제를 풀지까지 모두 선택입니다.
그 선택의 이면에는 늘 ‘포기’가 있습니다.
A를 선택하면 B는 못 합니다.
이때 포기한 그 B의 가치가 바로 경제에서 말하는 ‘기회비용’입니다.
4. 선택 뒤에 따라오는 것, 기회비용
기회비용(Opportunity Cost)이란 어떤 것을 선택했을 때 포기한 ‘다른 선택의 가치’입니다.
예를 들어 볼게요.
선택 | 기회비용 |
친구랑 PC방 가기 | 그 시간에 할 수 있었던 시험 공부 |
용돈으로 옷 사기 | 그 돈으로 영화 보기 or 저금하기 |
유튜브 보기 | 독서 or 가족과 대화 시간 |
단순히 A를 골랐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,
A를 고르는 순간 B, C, D의 가능성은 사라지는 것이죠.
이걸 이해하는 순간부터, 우리는 더 신중하고 주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5. 점심메뉴도 경제다 – 생활 속 경제사례
친구들과 점심을 먹을 때도 선택이 따라옵니다.
김밥, 햄버거, 파스타 중에서 무엇을 먹을지 결정하면서 우리는 다음을 고려하죠:
- 가격: 내가 가진 돈으로 살 수 있는가?
- 만족도: 내가 지금 땡기는 음식은 뭔가?
- 양과 질: 양이 충분한가, 맛은 괜찮은가?
이 과정에서 ‘최대의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선택’을 고민하는 것이 바로 경제 활동입니다.
그리고 이 선택의 반복이 소비 습관, 더 나아가 인생의 가치관을 형성하게 됩니다.
6. 시간도 돈도 모두 자원이다
경제에서는 시간, 돈, 에너지, 공간, 감정까지도 ‘자원(Resource)’으로 봅니다.
자원은 무한하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나누어 쓸지 결정하는 것이 핵심이죠.
예를 들어,
- 나의 시간은 공부, 친구, 휴식, 게임 중 어디에 쓸까?
- 나의 돈은 간식, 저축, 선물, 소비 중 어디에 쓸까?
이렇게 다양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하느냐에 따라,
삶의 만족도, 결과, 미래가 달라집니다.
즉, 자원 배분 = 삶의 설계입니다.
7. 왜 경제를 배워야 할까?
경제를 모르면 돈을 못 벌어서가 아닙니다.
경제를 모르고 선택하면, 손해를 보거나 후회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.
- 내가 ‘왜 이걸 사는지’를 모르고 산다면?
- 내 시간과 돈이 어디로 새고 있는지 모른다면?
-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모른다면?
이 모든 상황은 스스로 삶을 설계할 힘이 없는 상태입니다.
반대로 경제를 배운다는 건,
✔ 내가 무엇을 선택하고
✔ 무엇을 포기하는지 알고
✔ 결과를 감당할 수 있게 되는 힘을 기르는 것.
그리고 그 힘은 부모의 돈보다 더 큰 자산입니다.
📌 요약
항목 | 내용 |
경제란? | 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쓸지를 결정하는 선택의 과정 |
기회비용이란? | 어떤 선택을 했을 때 포기한 다른 선택의 가치 |
왜 배워야 하나? | 삶을 스스로 설계하고, 후회 없는 선택을 하기 위해 |
10대와의 연결 | 용돈, 시간, 소비, 공부 선택 등 모든 것이 경제 활동 |
📝 다음 편 예고
2부. 돈은 왜 필요한가? – 화폐는 언제부터 존재했을까?
돈의 본질과 화폐의 역사, 디지털 화폐 시대까지!
‘돈’이 어떻게 우리 일상을 움직이는지 쉽고 흥미롭게 알아봅니다.
10대를 위한 경제교육 시리즈 2부: 돈은 왜 필요한가? 화폐는 언제부터 존재했을까?
“돈이 없던 시절에도 사람들은 교환하며 살았다” 이번 글에서는 돈의 역할과 본질, 그리고 화폐의 기원을 10대의 눈높이에서 설명하겠습니다. ‘돈=종이’가 아니라, ‘돈=약속된 가치’임을
parenting-lab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