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제 말도 제법 잘하고, 친구들과 뛰노는 시간이 많아진 3~4세 아이. 하지만 이 시기는 동시에 감염병 전파의 위험도 높아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. 특히 수족구병, 아데노바이러스, 구내염, 물사마귀 같은 질환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한 명만 걸려도 금세 퍼질 수 있어요. 이번 편에서는 이 시기 아이들이 자주 걸리는 감염병의 특징, 전염성, 초기 증상, 집에서의 대처법, 등원 가능 시점까지 부모님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하나하나 짚어드립니다.
📌 블로그 소개글
육아는 감이 아닌 과학이다! Parenting-Lab은 과학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육아 가이드를 제공합니다.
안녕하세요, 15년 경력의 육아 전문가이자 두 아이의 아빠인 Daniel Jo입니다. "육아는 감이 아닌 과학이다."라는 철학 아래, 아이의 성장 단계별 맞춤 육아법과 최신 연구 기반 양육 팁, 그리고 현실적인 부모 교육 가이드를 통해 부모님들이 아이를 더 깊이 이해하고, 스트레스 없이 육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. Parenting Lab과 함께라면, 육아는 더욱 쉬워질 수 있습니다.
1. ‘발에 물집이 났어요…’ 수족구병은 생각보다 전염력이 강합니다
수족구병은 3~4세 아이들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 중 하나입니다.
처음에는 그냥 열이 나는 것 같다가,
• 입 안에 궤양처럼 하얗게 헐고
• 손, 발, 엉덩이에 작은 수포가 잡히며
• 먹는 것도 아파하고, 말을 덜 하게 됩니다.
이 질병의 무서운 점은
“잠복기 중에도 전염력이 높다”는 것인데요,
즉, 아직 증상이 없어도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는 이야기예요.
[수족구병 증상 요약]
주요 증상 | 특징 |
고열 | 38도 이상으로 2~3일 지속 |
입 안 통증 | 궤양성 구내염, 음식 거부 |
손·발·엉덩이 수포 | 작고 둥글며 붉은 테가 있음 |
식욕 저하, 무기력 | 먹는 양 급감, 짜증 증가 |
등원 가능 시점은?
• 열이 내리고
• 수포가 마르며
• 먹고 놀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된 후가 적절합니다.
보통 증상 발생 후 7~10일 뒤를 기준으로 합니다.
2. 눈병이 아니라 아데노바이러스? 헷갈리기 쉬운 증상들
아이가 갑자기 눈을 자주 비비고,
눈곱이 많아지며,
콧물과 기침, 그리고 고열까지 있다면
단순한 결막염이 아니라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일 수 있습니다.
아데노바이러스는 눈, 목, 장 등 다양한 부위를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예요.
그래서 ‘눈병 아데노’, ‘목감기 아데노’, ‘장염 아데노’ 이렇게 부위별로 부르기도 하죠.
특히 3~4세 아이들 사이에선
• 결막염형 – 눈 충혈 + 눈곱 + 통증
• 인후염형 – 고열 + 인후통 + 식욕 저하
• 장염형 – 고열 + 구토 + 설사
이런 식으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
아데노바이러스는
한 번 걸리면 열이 5~7일 가는 경우도 많고, 전염력이 매우 강해서 등원 기준이 중요합니다.
등원 가능 시점은?
• 열이 완전히 내리고
• 눈 충혈이 사라지며
• 전반적인 컨디션이 회복된 이후
보통은 증상 시작 후 일주일 이상 격리가 필요합니다.
3. “입 안이 아프대요” – 구내염은 아이를 까탈스럽게 만듭니다
구내염은 흔히 말하는 ‘입 안 헐음’인데, 3~4세 아이들에겐 그 고통이 꽤나 심각합니다.
• 밥 먹다 말고 울기
• 딱딱하거나 뜨거운 음식 거부
• 말을 적게 하고, 침을 흘리기도
이런 증상이 갑자기 나타난다면, 입안을 조심히 들여다봐 주세요.
혀 안쪽, 입천장, 볼 안쪽 점막에 작은 궤양이 동그랗게 생겨 있을 수 있어요.
대부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성 구내염이나 감기 후 면역 저하로 발생하는 아프타성 구내염입니다.
대처법은?
• 맵거나 짠 음식 피하기
• 부드러운 죽, 미음 등으로 대체
• 의사 처방 시, 입 안에 바르는 연고 사용
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 해열제를 함께 복용하면 먹는 데 도움이 됩니다.
4. 어린이집에서 잘 옮는 ‘물사마귀’, 가벼워 보여도 방심은 금물
물사마귀는 ‘몰루스크’라고도 부르며,
피부에 작은 반투명 혹이 생기는 바이러스성 피부 질환입니다.
보통 목, 팔, 배, 다리 등을 중심으로
쌀알만 한 크기의 둥근 돌기가 생기며 아이가 간지러워서 자꾸 긁는 경우가 많습니다.
문제는 긁으면서 터지면 내용물이 퍼지고, 이게 전염되기도 한다는 점이에요.
가벼운 질환으로 보일 수 있지만
수영장, 목욕탕, 수건 공유 등으로 쉽게 옮기기 때문에
집단생활에서는 전염 위험이 꽤 높습니다.
치료는 꼭 해야 할까요?
심하지 않다면 자연 소멸을 기다리기도 하지만
전염이 걱정되거나, 아이가 계속 긁어서 2차 감염이 우려된다면
피부과에서 냉동치료 또는 바르는 약 사용을 권장합니다.
5. 아이 감염병, 부모가 알아야 할 ‘격리와 등원’ 기준
3~4세 아이들이 걸리는 감염병은
대부분 고열과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‘언제 등원해도 되는가’가 늘 관건이 됩니다.
하지만 등원 기준이 병마다 다르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어요.
다음은 주요 감염병의 등원 기준 요약입니다:
감염병 | 등원 가능 시점 (일반 기준) |
수족구병 | 수포가 말라가고, 열이 내리며 식사 가능할 때 (보통 7~10일 후) |
아데노바이러스 | 열이 완전히 가라앉고, 눈 증상 사라졌을 때 (최소 5~7일 후) |
구내염 | 열 없고, 먹고 마시는 데 지장 없을 때 |
물사마귀 | 심하지 않으면 등원 가능하나, 터진 경우 2차 감염 주의 필요 |
각 어린이집마다 내부 지침이 다를 수 있으니 꼭 확인해 주세요!
다음 편 예고
👉 감염병 확산 막는 생활 습관 – 어린이집과 가정에서 실천하는 예방 루틴
💡 좋아요 & 구독을 눌러 Parenting Lab의 체계적인 육아 가이드를 놓치지 마세요!